수백년 전부터 중원을 지배해 오고 있는 세계 최대의 국가로, 최고 권력자인 황제를 중심으로 금군이나 동창 등의 산하 조직을 거느리고 중원의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. 세계관 내에서는 주로 황실로 불린다.
이들은 중원 내 뿐만 아니라 협객전 세계 전체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, 주변국들은 중원의 황실에게 주기적으로 조공을 바치면서 명목상 신하의 예를 갖추며, 황실에서는 그 대가로 주변국들의 내정에 특별히 간섭하지 않는다.
이러한 막강한 위상과 세력을 수백년 가까이 유지해 왔었지만, 오랜 세월 동안 썩을 대로 썩어서 이로 인한 수많은 폐단이 탄생하였고, 실권을 쥔 환관들을 위시로 온갖 패악질을 저지르며, 심지어 법을 뜯어 고쳐 가면서까지 이들의 추악한 행태를 보호하기까지 하며, 황실의 산하 조직들의 상당수도 실질적으로는 황실의 사조직에 가깝게 변질된 지 오래이다.
이 때문에 중원 내에서 점차 그 세력이 조금씩 쇠퇴하여 각종 무림고수들과 요괴들이 난립하는 무림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고, 이렇게 형성된 문파들은 황실로서도 무시할 수가 없는 존재들로 성장하게 되었다.
산하 조직
중앙관제
- 삼공(三公)
태사(太師), 태부(太保), 태보(太傅)의 3직을 통칭하는 말로, 중요한 국정과 정무를 처리할 때 황제를 보좌하는 책임을 지는 자리로 가장 중요한 자리이다. 모두 정 1품이다.
- 삼고(三吉)
소사(少師), 소보(少保), 소부(少傅)의 3위를 총칭하며, 삼공과 유사하게 중요한 국정과 정무를 처리할 때 황제를 보좌하는 책임을 지는 자리로, 삼공 다음가는 명예직이다.
- 내각(內閣)
대학사(大學士)라는 관직을 겸하고 있으며, 황제의 고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.
- 육부(六部)
이부(吏部) - 관료의 인사 담당.
호부(戶部) - 민부(民部), 재정과 지방 행정 담당.
예부(禮部) - 예제(禮制, 교육·윤리)와 외교 담당.
병부(兵部) - 군무 담당.
형부(刑部) - 사법과 경찰 업무(치안) 담당.
공부(工部) - 공공 공사 담당.
- 도찰원(都察院)
황제 직속 감찰 기관으로, 과거에는 어사부(御史府)라 불렸다. 중원 전역에 감찰어사를 파견하여 그 권력을 공고히 하고 있다.
- 한림원(翰林院)
황제 직속 기관으로, 각종 기밀사항을 취급하고, 동시에 도서, 경적(經籍), 국사 편수의 사무를 돌본다. 황제의 자문에 응답하고, 황제가 편찬사업을 명하면 서적 간행을 담당한다. 또한 황자들에게 학문을 가르치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.
- 국자감(國子監)
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관으로, 전국의 학교를 관리하는 최고 기구다.
- 통정사(通政司)
문서를 전달하는 중앙부서로,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나, 황제가 발표하는 칙령 등을 총괄하고 있다.
지방관제
- 승선포정사사(丞宣布政使司)
중앙관제의 육부와 비슷한 역할을 담당하는 1성(省)의 최고행정기관으로, 사법이나 군사에 관한 권한은 없으나 인사, 재정, 행사 및 교육, 군정, 공사 등을 관장한다. 총 13개의 포정사사가 있다.
- 제형안찰사사(提刑按察使司)
1개의 성의 형벌과 옥을 담당하는 사법기관이다.
- 부(府)
지부(知府) – 정 4품
동지(同知) – 정 5품
통판(通判) – 정 6품
추관(推官) – 정 7품
- 주(洲)
부 직속인 속주와 포정사사 직속인 직예주로 나뉜다.
- 현(縣)
현급 지자체를 이루는 관직에 오른 백성들로, 상, 중, 하 세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다. 총포두, 포두, 포쾌, 정용, 보랑관, 삼반 육방, 조옥관 등이 포함되어 있다.
- 도지휘사사(都指揮使司)
1성(省)의 군사를 통괄하는 군정기관으로, 각 성마다 군사를 지휘하는 군사령관의 개념이다.
- 위지휘사사(衛指揮使司)
경사(京師) 및 각지에 설치된 군사통괄기관.
- 천호소(千戶所)
위지휘사의 하부 기관으로, 각 천호소마다 군사 1,200명을 거느린다.
금의위(錦衣衛)